Investment(성취)/Safety9 건설안전, 건설안전기사 실기 공부 3편(작업중지 등) 악천후 및 강풍 시 작업중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37조)사업주는 비ㆍ눈ㆍ바람 또는 그 밖의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작업을 중지해야 함. 다만, 태풍 등으로 위험이 예상되거나 발생되어 긴급 복구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함.사업주는 순간풍속이 초당 10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타워크레인의 설치 ㆍ 수리 ㆍ 점검 또는 해체 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며, 순간풍속이 초당 15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워크레인의 운전작업을 중지하여야 함.폭풍에 의한 이탈 방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140조)사업주는 순간풍속이 초당 30미터를 초과하는 바람이 불어올 우려가 있는 경우 옥외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 크레인에 대하여 이탈방지장치를 작동 시는 등 이탈 방지를 .. 2025. 3. 24. 건설안전, 건설안전기사 실기 공부 2편(사다리식 통로 등) 계단의 강도: 매제곱미터당 50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준 구조, 안전율은 4 이상으로 하며, 계단 및 승강구 바닥을 구멍이 있는 재료로 만드는 경우 렌치나 그 밖의 공구 등이 낙하할 위험이 없는 구조로 해야 함.계단의 폭: 폭 1미터 이상, 계단 손잡이 외에 다른 물건 등을 설치하거나 쌓아 두어서는 안 됨계단참의 설치: 높이 3미터 초과하는 계단은 3미터 이내마다 진행방향으로 길이 1.2미터 이상의 계단참을 설치해야 함계단의 난간: 높이 1미터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해야 함.통로의 조명: 75럭스 이상의 채광 또는 조명시설을 해야 함. 다만, 갱도 또는 상시 통행을 하지 아니하는 지하실 등을 통행하는 근로자에게 휴대용 조명기구를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안 해도 .. 2025. 3. 13. 건설안전, 건설안전기사 실기 공부 1편(콘크리트의 타설작업, 타설장비, 거푸집 및 동바리)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경우, 거푸집 및 동바리 "위험 예방" 관련 사업주의 준수사항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34조(콘크리트의 타설작업)]당일의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작업에 관한 거푸집 및 동바리의 변형ㆍ변위 및 지반의 침하 유무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보수할 것작업 중에는 감시자를 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거푸집 및 동바리의 변형 ㆍ변위 및 침하 유무 등을 확인해야 하며, 이상이 있으면 작업을 중지하고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거푸집 붕괴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충분한 보강조치를 할 것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포집 및 동바리를 해체할 것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경우에는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골고루 분산하여 타설 할 것콘크리트 타설장비 사용.. 2025. 3. 5.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의무 및 기준 2편(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49호) 2025.01.08 - [분류 전체 보기]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의무 및 기준 1편(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49호)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의무 및 기준 1편(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49호)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란?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현장에서 직접 사용되거나 해당 건설업체의 본점 또는 주사무소(본사)에 설치된 안전전담부서에서 법령에 규정된 사항을 이행ys-investment.tistory.com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기준?안전관리자ㆍ보건관리자 임금 등안전관리 또는 보건관리 업무만을 전담하는 안전관리자 또는 보건관리자의 임금과 출장비 전액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건설공사 현장에서 산업재해 예방 업무만을 수행하는 작업지휘자, 유도자, 신호자 등의 임금 전액아래에 해당하는 작업을 직접 지휘 .. 2025. 1. 17. 이전 1 2 3 다음